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조선업 위기

상상오린지 2016. 5. 4. 19:37

목차는


1. 조선업 소개


2. 조선업 운지 이유


3. 조선업 구조조정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조선업 현황


Shipbuilding-Industry.jpeg


조선업이란 선박과 해양 구조물을 


만들거나 수리하는 산업으로








선박엔진.jpg


선박을 만드는데 대량의 철강과


기계 부품이 필요해서 (배 엔진)








조선산업.jpg

(후방산업 : 최종 소비자에게 멀리 위치한 산업. 주로 제품의 소재를 만듬.)


기계와 철강 등의 후방산업에 


큰 영향을 끼치는 산업이라고 해. 








2015년1분기.jpg 


조선업은 우리나라가 


매우 잘하는 산업으로 (2015년 1분기 기준)








우리나라조선업.JPG 


세계 10대 조선사 중 


상당수가 우리나라 기업이고 (2015년 기준)






조선산업_산업통상자원백서.JPG

(출처: 산업통상자원백서)


조선업이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10%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2011년 기준)








20061114_조선.jpg

그밖에 조선업은 국산화율이 매우 높아서 (2006) 








협력사_20160503_국민.jpg


국내에 협력업체가 매우 많은 편이라 (2016)








종사자_20160425_조선.jpg


조선업에 무려 20만명이나


종사하는 중이야. (2016)








적자_20160107_연합.jpg


그런데 최근 이렇게 중요한 조선업이 


수조원 대 적자를 봐서 (2016)








구조조정.jpg


대규모 구조조정에 들어갔고 








20160422_MBC.jpg


작년에 만 5천명이 실직했고


올해는 2만명 이상 해고될 것이라고 해. (2016)








1. 조선업 소개 요약


1) 조선업은 선박과 해양 구조물을 만드는 산업임.


2)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조선강국이고 조선업은 우리나라의 주력산업임.


3) 조선업의 장기침체로 대규모 해고가 발생하고 있음. 








2. 조선업 운지 이유


조선산업.jpg


조선업은 해운업의 업황에 따라 


크게 움직이는 산업이라 








Baltic Dry Index-all.jpg

(발틱운임지수 : 원자재를 운반하는 벌크선의 시황을 나타내는 지수.)


해운업이 매우 좋았던 2006~2008년도에 (2015)








수주_20101011_조선.jpg

선박 수주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는데 (2010)








공급과잉.jpg


이때 조금 과하게 배를 만들었다보니


물동량에 비해 선복량이 훨씬 더 많은 


선박 공급과잉이 발생한 것이야. (2013)






조선가격_산업통상.JPG

(출처: 산업통상자원백서)

 

이런 공급과잉 문제로 선박 신규수주가 감소하고


선박가격이 크게 하락해서 (2015)









해양플랜트고부가가치.jpg


우리나라 조선사들이 선박 건조보다


해양플랜트에 눈을 돌렸는데 








해양플랜트1.jpg


이 해양플랜트 사업이 


생각보다 심하게 어려워서 








해양플랜트2.jpg


우리나라 조선사들이 공사지연 및 사업비 증가로


무려 8조원의 손실을 봤다고 해. 








취소_20160415_매경.jpg


여기에 엎친 데 덥친 격으로 


국제유가 하락을 이유로 


에너지 기업들이 해양플랜트 발주를 취소해서 (2016)







수출입은행.JPG

(출처: 수출입은행)


우리나라 조선사들이 해양플랜트 


수주 감소의 타격도 받고 있는 중이야.  








2. 조선업 운지 이유 요약


1) 해운업 호황일 때 배가 너무 많이 만들어졌음. 


2) 선박 공급과잉 문제로 신규수주가 급감하고 선박가격이 하락했음. 


3) 해양플랜트 사업을 많이 했는데, 생각보다 어려워서 8조원 손실을 봄. 








3. 조선업 구조조정 


원인_20160427_머니투데이.jpg


조선업이 선박수주 감소와 


해양플랜트 손실로 운지해서 (20160








구조조정_20151014_동아.jpg


대규모 구조조정에 들어가게 되었는데 (2015)








위험_20160426_동아.jpg 


조선사들의 부채규모가 워낙 커서 


금융권과 정부도 난감해 하고 있어. (2016)








세계무역물량.jpg 


여기에 엎친 데 덥친 격으로 


전세계 무역 물량(Volume)이 감소해서 (2015)








20160502_디지털타임즈.jpg


올 4월에 조선 3사가 신규수주를 


단 한척도 못 받는 일이 발생했어. (2016)









20160425_서울경제.jpg

이런 문제로 조선업 구조조정은 


매우 어렵고 힘든 일이 되었는데 (2016)








아까움.jpg


조선업이 우리나라 경제의 기둥 중 하나라


포기하는 것도 어렵다고 생각해. 








국가_20160330_서울경제.jpg


그리고 조선업에 엄청나게 


투자했던 중국이 (2016)








중국조선업_kbs.jpg


최근 경기침체와 과잉 설비 문제로 


크게 흔들리고 있어서 







중국조선업_kbs2.jpg


우리나라보다 중국 조선사들이 


먼저 운지하지 않을까 생각되는 편이야. 







수출입은행2.JPG

(출처: 수출입은행)


마지막으로 선박 공급과잉 문제로 인해


조선업 전망이 매우 나쁘지만 








고철.jpg


잉여선박들이 고철로 해체되고 있어서


공급과잉 문제는 언젠간 해결될 것이고 (2016)








20160322_한경.jpg


우리나라가 중국, 일본보다


고부가가치 선박을 잘 만드는 편이라


희망은 있다고 생각해. (2016) 








3. 조선업 구조조정 요약


1) 조선업 구조조정은 규모가 커서 상당히 어려울 것임. 


2) 수년 후에 선박 공급과잉이 해소되어야 상황이 나아질 것 같음. 


3) 중국 조선업의 가동률이 10%도 안 될 정도로 전세계 조선업이 어려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