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는
1. 조선업 소개
2. 조선업 운지 이유
3. 조선업 구조조정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조선업 현황
조선업이란 선박과 해양 구조물을
만들거나 수리하는 산업으로
선박을 만드는데 대량의 철강과
기계 부품이 필요해서 (배 엔진)
(후방산업 : 최종 소비자에게 멀리 위치한 산업. 주로 제품의 소재를 만듬.)
기계와 철강 등의 후방산업에
큰 영향을 끼치는 산업이라고 해.
조선업은 우리나라가
매우 잘하는 산업으로 (2015년 1분기 기준)
세계 10대 조선사 중
상당수가 우리나라 기업이고 (2015년 기준)
(출처: 산업통상자원백서)
조선업이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10%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2011년 기준)
그밖에 조선업은 국산화율이 매우 높아서 (2006)
국내에 협력업체가 매우 많은 편이라 (2016)
조선업에 무려 20만명이나
종사하는 중이야. (2016)
그런데 최근 이렇게 중요한 조선업이
수조원 대 적자를 봐서 (2016)
대규모 구조조정에 들어갔고
작년에 만 5천명이 실직했고
올해는 2만명 이상 해고될 것이라고 해. (2016)
1. 조선업 소개 요약
1) 조선업은 선박과 해양 구조물을 만드는 산업임.
2)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조선강국이고 조선업은 우리나라의 주력산업임.
3) 조선업의 장기침체로 대규모 해고가 발생하고 있음.
2. 조선업 운지 이유
조선업은 해운업의 업황에 따라
크게 움직이는 산업이라
(발틱운임지수 : 원자재를 운반하는 벌크선의 시황을 나타내는 지수.)
해운업이 매우 좋았던 2006~2008년도에 (2015)
선박 수주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는데 (2010)
이때 조금 과하게 배를 만들었다보니
물동량에 비해 선복량이 훨씬 더 많은
선박 공급과잉이 발생한 것이야. (2013)
(출처: 산업통상자원백서)
이런 공급과잉 문제로 선박 신규수주가 감소하고
선박가격이 크게 하락해서 (2015)
우리나라 조선사들이 선박 건조보다
해양플랜트에 눈을 돌렸는데
이 해양플랜트 사업이
생각보다 심하게 어려워서
우리나라 조선사들이 공사지연 및 사업비 증가로
무려 8조원의 손실을 봤다고 해.
여기에 엎친 데 덥친 격으로
국제유가 하락을 이유로
에너지 기업들이 해양플랜트 발주를 취소해서 (2016)
(출처: 수출입은행)
우리나라 조선사들이 해양플랜트
수주 감소의 타격도 받고 있는 중이야.
2. 조선업 운지 이유 요약
1) 해운업 호황일 때 배가 너무 많이 만들어졌음.
2) 선박 공급과잉 문제로 신규수주가 급감하고 선박가격이 하락했음.
3) 해양플랜트 사업을 많이 했는데, 생각보다 어려워서 8조원 손실을 봄.
3. 조선업 구조조정
조선업이 선박수주 감소와
해양플랜트 손실로 운지해서 (20160
대규모 구조조정에 들어가게 되었는데 (2015)
조선사들의 부채규모가 워낙 커서
금융권과 정부도 난감해 하고 있어. (2016)
여기에 엎친 데 덥친 격으로
전세계 무역 물량(Volume)이 감소해서 (2015)
올 4월에 조선 3사가 신규수주를
단 한척도 못 받는 일이 발생했어. (2016)
이런 문제로 조선업 구조조정은
매우 어렵고 힘든 일이 되었는데 (2016)
조선업이 우리나라 경제의 기둥 중 하나라
포기하는 것도 어렵다고 생각해.
그리고 조선업에 엄청나게
투자했던 중국이 (2016)
최근 경기침체와 과잉 설비 문제로
크게 흔들리고 있어서
우리나라보다 중국 조선사들이
먼저 운지하지 않을까 생각되는 편이야.
(출처: 수출입은행)
마지막으로 선박 공급과잉 문제로 인해
조선업 전망이 매우 나쁘지만
잉여선박들이 고철로 해체되고 있어서
공급과잉 문제는 언젠간 해결될 것이고 (2016)
우리나라가 중국, 일본보다
고부가가치 선박을 잘 만드는 편이라
희망은 있다고 생각해. (2016)
3. 조선업 구조조정 요약
1) 조선업 구조조정은 규모가 커서 상당히 어려울 것임.
2) 수년 후에 선박 공급과잉이 해소되어야 상황이 나아질 것 같음.
3) 중국 조선업의 가동률이 10%도 안 될 정도로 전세계 조선업이 어려움.